
중견 건설사 이화공영이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화공영은 1일 이사회 결정을 통해 서울회생법원에 회생 절차 개시와 재산 보전처분·포괄금지명령을 신청했다고 2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이날부터 주권 거래가 정지됐다.
1956년 설립된 이화공영은 작년 시공능력평가 134위를 기록한 중견 건설사다. 다양한 건축·토목·산업플랜트 사업을 수행해왔고 현재도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3공구 공사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최근 실적 부진이 심화되면서 결국 법원에 기업회생을 요청하게 됐다.
이화공영의 재무 상황은 악화일로를 걸었다. 작년 영업손실은 4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63.6% 급증했고 매출액도 1100억 원으로 27.2% 감소했다. 특히 외부 감사에서 ‘계속기업 존속능력 불확실’을 이유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 한국거래소는 23일까지 이의신청이 없으면 상장폐지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화공영은 2007년 대선 당시 ‘이명박 테마주’로 주목받았고 최근에는 ‘이재명 테마주’로도 거론됐다. 그러나 주가 변동성과 무관하게 재정난이 누적되면서 법정관리라는 극단적 선택을 피할 수 없었다.
올해 들어 이화공영을 포함해 신동아건설·삼부토건·대저건설·제일건설·안강건설·대우조선해양건설 등 7개 건설사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업계 전반이 원자재 가격 상승·부동산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업체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전했다.
후원하기